본문 바로가기
바깥활동/미니벨로

브롬톤 전기자전거 키트 비교(브롬핏 vs 히든파워)

by littlemonkey 2019. 5. 13.
반응형

 

브롬톤 전동화의 목적은 중거리(40km 이상) 이상 라이딩 시 16인치 바퀴에서 오는 피로도를 줄이고,,,(사실은 부족한 허벅지를 대체하기 위해ㅋ) 여름의 땀에서 해방되기 위함이다.

전동화는 자전거를 조력하는 개념으로 접근해야 한다는 것이다 전동화가 우선이 되면 전기자전거보다는 전동휠에 가깝게 된다. 즉 라이딩의 즐거움(부실한 하체의 근육 통증, 부족한 폐활량에도 불구하고 종주한 성취감ㅋ)이 사라진다.

그래서 전동화에서 가장 중요한 점이 무전동 시의 주행성이다. 즉 모터 장착으로 인한 저항 발생과 무게 증가로 인한 주행성의 저하를 최소화 할 수 있는 방법을 찾는 것이다.

또 한가지 브롬톤이기에 중요한 것이 장착 시의 디자인다. 브롬이 가진 클래식함을 너무 해치는 장치 부착은 거부감이 생기는 것이 브롬토너들의 공통된 마음일 것이다.

그럼, 브롬톤에 부착 가능한 전동화 키트 중 대표적인 아래의 두가지를 비교해보자.

구분 브롬핏 히든파워
무게

모터셋 2,000g

(모터 1500g+컨트롤러, 스로틀 등 약 400g 추정)

모터셋 1,100g (컨트롤러 포함)

* 배터리 무게는 용량에 따라 달라지므로 제외함

저항 허브모터 저항, 휠셋무게 증가로 인한 주행성 저하

2019년 제품부터 완전 무부하(무전동 시 모터가 타이어에서 떨어짐)

디자인

파스모드용 리모컨과 LCD 부착 시 본격 전기차 모드로 보임

프론트백에 배터리와 컨트롤러를 모두 수납하고 스로틀만 부착 시 배선이 짧고 노출이 적어 깔끔함(프론트백 무게 700g)

히든파워 부착위치 상 크게 거슬리지는 않으나 허브모터보다 미관상 좋지는 않음

모터가 후륜에 있어서 배터리 장착 위치가 애매함, 싯포에 장착 시에는 폴딩때마다 배선이 걸리고,

프론트에 장착 시에는 배선 노출이 길어서 보기좋지 않고, 새로 나온 삼각형 배터리도 프레임보다 폭이 넓어서 기대만큼 깔끔한 그림이 안나옴

조력정도

파스모드 : 속도제어 센서로 인해 충분한 기어비가 없을 시 초고속 헛발질 모드 유발

스로틀모드 : 순간 가속시에는 좋으나 지속라이딩 시 적절한 조력정도를 맞추기 어렵고 엄지에 쥐가남

스로틀이 다이얼식이고 지속유지되는 형태로 파스의 전류제어 방식을 아날로그적으로 구현한 것과 비슷한 효과를 보임, 지속라이딩 시 조력정도를 수동으로 적절히 조정 가능
소음 약간의 우웅~(주행중에는 도로 주행소음에 묻혀 크게 표나지 않음) 웨에엥~(마찰식이다 보니 주행 중에도 주변사람이 알아챌 정도의 소음)
타이어 전동 사용 시 제동력 향상을 위해 앞타이어를 마라톤급으로 교체 필요

타이어에 따라 모터의 감속기 길이가 달라져 순정과 비슷한 둘레를 가진 타이어만 장착 가능함(순정 1320정도, 마라톤 계열과 동일)

코작 사용시는 감속기를 긴걸로 교체 필요하며 슬릭형 타이어는 마찰계수가 떨어져 마찰식 키트의 효율이 좋지 않음

반응형

댓글